올해 창사 70주년을 맞은 LG전자는 협력사를 존중하는 기업문화로 유명하다. 지난 3월 경기 평택시 LG전자 러닝센터에서 열린 ‘2017년 LG전자 협력회 총회’가 대표적 사례다. 생산성과 품질 개선 등에 탁월한 성과를 낸 12개 협력사를 선정해 시상하는 자리에 조성진 부회장이 나서 회사 전략과 역점 사항 등을 협력사 대표들에게 자세히 알렸다. 자칫 민감할 수도 있는 내용들을 공유한 것은 품질 향상을 위해서다. 조 부회장은 “품질을 지키기 위해서는 개발 단계부터 협력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2017년 LG전자 협력회 총회’에서 조성진(오른쪽 다섯 번째) LG전자 부회장 등이 손을 맞잡고 있다. LG전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3월 ‘2017년 LG전자 협력회 총회’에서 조성진(오른쪽 다섯 번째) LG전자 부회장 등이 손을 맞잡고 있다. LG전자 제공
LG가 말하는 상생도 같은 맥락이다. 2011년부터는 LG전자 캠프 동반성장 결의식을 시작으로, 매년 동반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협업을 약속한다. 노조도 존중과 상생의 문화에 적극 동참하는 모습이다. 국내기업 최초로 노동조합 윤리규범을 제정한 LG전자 노조는 2010년 ‘노조의 사회적 책임(USR)’을 선포했다. 역시 국내기업 중 처음이다. 노조가 조합원의 권익 신장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LG전자 노조는 이런 활동을 해외법인에까지 전파하고 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LG전자는 지난 7일 세계적 권위의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에서 24개 분야 320개 기업 중 분야별 최고 기업인 ‘인더스트리 그룹 리더’에 4년 연속 선정됐다. 올해 ‘인더스트리 그룹 리더’에 선정된 국내 기업은 LG전자가 유일하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10-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