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예금 금리 3%대로 떨어져
예금은행 수신 잔액 45조 줄어
투자자예탁금·MMF 잔액 급증
“증시 변동성 커 신중한 투자를”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예금은행의 수신잔액은 2198조원으로 전월보다 45조 5000억원 줄었다. 은행 예금 금리가 오르자 지난해 4~11월 연속 은행 수신잔액이 증가했으나, 금융당국이 은행의 금리 경쟁에 제동을 걸면서 지난해 11월 연 5%대까지 치솟았던 예금금리가 3%대까지 낮아진 데 따른 결과다. 5대 은행의 수신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870조 581억원으로 전월 대비 7조 3862억원 줄었다. 정기예금 잔액은 전월 대비 6조 1866억원 줄어든 822조 25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주식과 펀드 등 투자처로 향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대기 자금 성격인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1일 51조 5218억원으로, 1월 한 달간 7조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6일(51조 7942억원) 이후 가장 큰 금액이다. 연초부터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 정점론’에 대한 기대감에 글로벌 증시가 상승세를 타면서 개미 투자자들이 다시 주식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머니마켓펀드(MMF)도 주목받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MMF 잔액은 39조원 증가했다. 투자자들은 MMF에 단기 자금을 넣어 놓고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형·채권형 펀드도 각각 4조 1000억원, 2조원 늘었다.
다만 글로벌 증시와 환율 등에 변동성이 큰 만큼 신중한 투자가 요구된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계속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빠른 속도로 힘을 얻고 있다”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정점과 이에 따른 환율 변화 등을 쉽게 예측할 수 없는 만큼 무리한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3-02-2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