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월여 만에 1조 1465억원 집계
금감원 사업장 단위로 관리 강화

12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카드사 제외)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1조 14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말(4838억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금융업권에서 증권사의 PF 대출 규모(4조 4601억원)는 가장 작았지만, 연체 잔액은 363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연체율도 8.2%로 전 업권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중·후순위 PF 보유 비중이 높아 리스크가 더 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 잔액은 3000억원, 캐피털은 2902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체율은 각각 2.4%, 1.2%로 나타났다.
PF 대출 규모가 가장 큰 업권은 보험사(45조 4906억원)로, PF 연체 잔액은 1767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의 대출 잔액은 34조 3000억원으로 연체 잔액은 115억원, 연체율은 0.03%였다.
문제는 지난해부터 지속되고 있는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대우건설이 고금리와 미분양 우려로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례까지 나오면서 비슷한 사례가 잇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건설사들이 시공권을 포기하며 브리지론 사업장이 본PF로 넘어가지 못하면 사업에 자금을 댔던 금융사들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은 부동산 불안이 금융시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올해 주요 업무 과제로 설정하고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개별 금융권역별로 관리돼 온 부동산 PF 관리 체계를 사업장 단위로 개편한다. 특히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부실 위험 우려가 커진 만큼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단계별, 투자 형태별 리스크 특성을 순자본비율(NCR) 위험 값에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2023-02-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