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주식 시장 판세가 바뀌고 있다. 주식 시장은 특히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세를 이루던 도요타, 다임러, GM 등 내연기관 기반의 전통차에서 미국의 테슬라, 중국의 비야디(BYD) 같은 미래 전기차로 시장 흐름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자율주행의 기술력을 기반 삼아 자동차 시장에 뛰어들었다. 앞으로 미래 전기차가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정부 규제와 보조금으로 성장세를 이어 갔다면 이제부터는 실적 개선과 경제성을 갖추며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항상 지적받던 전기차의 경제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주도권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급격히 넘어오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가장 우려됐던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고 주행거리와 충전시간 등이 개선됐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IT, 2차 전지, 헬스케어 등 3가지 업종에서 주도주가 나왔고 그 가운데 2차 전지가 제일 강세를 보였다. 국내 2차 전지 관련주인 삼성SDI와 LG화학은 앞으로도 상승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테슬라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400달러에서 시작했지만 8월 말에 2200달러(액면분할 전)를 돌파해 전기차시장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테슬라는 S&P 500지수 편입 불발 등으로 8일(현지시간) 하루 동안 주가가 21.06% 빠지는 등 조정을 받아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미래 친환경 자동차의 성장은 투자자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관련 종목에서 시장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겸비한 기업을 선별하고 투자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친환경 차 관련주에 투자하는 방법은 글로벌랩 투자나 해외 직접 투자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눈여겨 볼만한 상품으로 혁신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 미국기업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자율주행랩’이 있다. 테슬라, 구글, 엔비디아(NVIDIA), 자일링스(XILINX), 앱티브(APTIV) 등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분할 매수하는 상품이다. 두 번째로는 테슬라나 니콜라 등 친환경 자동차 관련주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이다. 해외 직접 투자가 최근 비교적 쉬워지면서 투자자는 자산을 원화, 달러, 위안화 등 국가별 통화로 분산 투자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친환경 차 관련주 비중이 높은 미국상장 ETF(상장지수펀드)를 매수할 수 있다. 테슬라 비중이 10% 이상 되는 ARKQ, ARKW, QCLN 같은 ETF를 편입해 친환경 차 관련주에 투자하는 것이다.
한국투자증권 순천지점 영업팀장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정부 규제와 보조금으로 성장세를 이어 갔다면 이제부터는 실적 개선과 경제성을 갖추며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항상 지적받던 전기차의 경제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주도권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급격히 넘어오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가장 우려됐던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고 주행거리와 충전시간 등이 개선됐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IT, 2차 전지, 헬스케어 등 3가지 업종에서 주도주가 나왔고 그 가운데 2차 전지가 제일 강세를 보였다. 국내 2차 전지 관련주인 삼성SDI와 LG화학은 앞으로도 상승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테슬라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400달러에서 시작했지만 8월 말에 2200달러(액면분할 전)를 돌파해 전기차시장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테슬라는 S&P 500지수 편입 불발 등으로 8일(현지시간) 하루 동안 주가가 21.06% 빠지는 등 조정을 받아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미래 친환경 자동차의 성장은 투자자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관련 종목에서 시장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겸비한 기업을 선별하고 투자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친환경 차 관련주에 투자하는 방법은 글로벌랩 투자나 해외 직접 투자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눈여겨 볼만한 상품으로 혁신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 미국기업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자율주행랩’이 있다. 테슬라, 구글, 엔비디아(NVIDIA), 자일링스(XILINX), 앱티브(APTIV) 등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분할 매수하는 상품이다. 두 번째로는 테슬라나 니콜라 등 친환경 자동차 관련주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이다. 해외 직접 투자가 최근 비교적 쉬워지면서 투자자는 자산을 원화, 달러, 위안화 등 국가별 통화로 분산 투자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친환경 차 관련주 비중이 높은 미국상장 ETF(상장지수펀드)를 매수할 수 있다. 테슬라 비중이 10% 이상 되는 ARKQ, ARKW, QCLN 같은 ETF를 편입해 친환경 차 관련주에 투자하는 것이다.
한국투자증권 순천지점 영업팀장
2020-09-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