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홍콩H지수 연계 ELS 25조원도 ‘경고등’

은행권 홍콩H지수 연계 ELS 25조원도 ‘경고등’

장진복 기자
입력 2019-10-14 21:06
수정 2019-10-15 09: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콩 시위 장기화에 H지수 하락…계속 떨어지면 원금 손실 가능성

홍콩 시위 사태가 이어지면서 국내 은행들이 판매한 홍콩 주가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 대한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규모 원금 손실로 논란이 된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에 이어 25조원 규모의 홍콩지수 연계 ELS도 위험 신호가 켜졌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의 주가연계형 특정금전신탁(ELT)의 9월 말 잔액은 32조 7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홍콩H지수(HSCEI·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를 포함한 상품의 잔액은 25조 6000억원이다. ELT는 ELS에 투자하는 특정금전신탁 상품이다. 홍콩 사태 장기화로 홍콩 증시가 계속해서 부진하면 손실이 날 수밖에 없다.

시중에 판매되는 ELS는 보통 3년의 투자 기간을 6개월 단위로 평가해 기초자산이 일정 수준(배리어)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는 ‘스텝다운형’ 구조다. 문제는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에 투자한 투자자는 홍콩H지수가 하락세를 이어 갈 경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 17일 종가 기준 1만 1848.98까지 올랐던 홍콩H지수는 8월 13일 9846.64까지 떨어졌다. 14일에는 1만 507.85를 기록했다. ELS는 대개 만기 때 최초 시점 지수보다 35∼50% 이상 내리면 손실이 발생한다. 올해 연고점에 들어간 투자자가 만기 때 홍콩H지수가 7700선 밑으로 하락하면 손실을 볼 수 있다.

시장에서는 홍콩H지수가 현재보다 더 내려가 ELS가 손실 구간에 들어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 시중은행 가운데 국민은행의 ELT 잔액이 14조원으로 가장 많다. 홍콩H지수를 포함한 ELT 잔액은 12조 7000억원으로 이 역시 은행권 중에서 가장 많다.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의 홍콩H지수 포함 ETF 잔액은 6조원, 우리은행은 9000억원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50% 위주의 녹인(손실 발생 시점) 수준으로 운용해 홍콩 H지수로 인해 손실이 발생한 사례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홍콩H지수 연고점(1만 1848.98)에 가입한 고객이라면 녹인 구간이 5900 수준”이라며 “현재 기준 약 45% 수준의 가격하락 여유가 있어 손실발생 우려는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10-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