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집주인, 1년새 보증금 줄이고 월세 늘려

소형 집주인, 1년새 보증금 줄이고 월세 늘려

입력 2013-05-19 00:00
수정 2013-05-19 1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40㎡ 이하 보증금 5% 내리고 월세는 4.5% 올라월세 강남구 50만2천원으로 1위…강남·도심권 강세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소형주택을 세놓은 집주인들이 1년 새 보증부 월세의 보증금은 낮추고 월세액은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임대전문 정보회사인 렌트라이프가 국토교통부의 주택(단독·다가구, 연립·다세대) 월세 실거래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거래된 40㎡ 이하 소형주택의 월세 보증금이 지난해 1분기 평균 2천276만6천원에서 올해 1분기는 2천162만원으로 114만6천원(5%)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월세는 지난해 1분기 평균 34만8천원에서 올해는 36만3천원으로 1만6천원(4.5%) 올랐다.

이는 집값이 안정된 가운데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월세를 놓은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올리는대신 월세 금액을 높여 소득을 늘리거나 노후자금을 마련하려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구별로는 서울 25개구의 소형주택 가운데 월세 보증금은 21개구가 떨어졌고 월세액은 22개구에서 올랐다.

1년 새 월세가 많이 오른 구는 중구·용산구(4만4천원), 동작구(3만5천원), 성북구(3만원), 성동구·금천구(2만8천원) 등 주로 4대문 안이었다.

강남구 등 오피스 밀집지역 주변의 월세도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다.

반면 보증금이 가장 크게 떨어진 곳은 서초구로 지난 1분기 평균 3천313만원에서 올해 1분기 2천945만4천원으로 367만6천원 하락했다.

2위는 용산구로 2천80만3천원에서 1천720만5천원으로 359만8천원이 내렸다.

용산구의 월세가 서울시 전체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을 감안하면 보증금은 내리고 월세는 올리는 현상이 두드러진 셈이다.

월세를 전세로 환산해 월세 보증금을 합산한 ‘환산전세가’가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로 평균 8천431만5천원이었다.

2위는 서초구(7천393만원), 3위는 송파구(6천939만2천원)로 강남 3구가 1~3위를 차지했다.

이어 마포구(6천316만9천원), 중구(6천209만1천원), 동작구(5천936만2천원) 등의 순으로 가격이 높았다.

월세가 가장 비싼 곳은 강남구로 50만2천원이었으며, 서초구(44만5천원), 중구(41만1천만원) 등도 월 평균 40만원 이상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포구(39만9천원), 용산구(39만7천원), 종로구(38만5천원) 등도 월세가 상대적으로 비쌌다.

렌트라이프 김혜현 대표는 “1~2인 가구 비중이 높은 소형주택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집값이 비싼 강남 3구와 직장과 가까운 도심권의 임대료가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보증금보다는 월세를 늘리려는 집주인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