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민영아파트 18만8천채 공급…4년만에 최저

내년 민영아파트 18만8천채 공급…4년만에 최저

입력 2010-12-19 00:00
수정 2010-12-19 1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능력평가 100위권 이내 주요 민간 건설사들의 내년 아파트 분양계획 물량이 20만 가구에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이는 2007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여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민간 건설사의 아파트 공급시장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부동산정보회사 부동산114가 상위 100위권 민간 건설사 중 현재까지 내년 아파트 분양계획이 있거나 계획을 수립한 50여곳의 분양 물량을 집계한 결과 전국적으로 230여개 단지,총 18만8천485가구(도시정비사업의 조합원분 포함)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고 19일 밝혔다.

<표> 민간 아파트 내년 지역별 분양계획

(단위:가구)























































































































































































구분올해 계획

(2009년 12월

19일 기준)
올해 실적내년 계획

(2010년 12월

19일 현재)
강원도3,3281,3142,445
경기도118,12429,50471,844
경상남도6,1544,91811,608
경상북도1,5233,1021,318
광주광역시2,4514,241546
대구광역시6,2455,7525,885
대전광역시5,8948775,336
부산광역시17,6758,13918,144
서울특별시50,94710,31036,903
울산광역시5,3333284,702
인천광역시20,7828,70917,038
전라남도3,3543,0531,340
전라북도3,3183,8453,006
제주도-672-
충청남도11,7121,4675,961
충청북도1,8063,5502,409
전국258,46689,781188,485


※자료 : 부동산114(12월19일 현재 조사 기준으로 내년도

최종 분양계획은 더 늘어날 수 있음)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에 조사한 분양계획 물량 25만8천466가구에 비해 27% 감소한 것이자 이 회사가 분양계획을 조사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2007년 당시 분양계획인 43만2천478가구에 비해서는 무려 56%가 감소하며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내년 분양계획 중 도시정비사업의 조합원분을 제외한 일반분양분은 약 14만가구로 추산된다.

 민간 건설사의 분양물량은 2007~2008년 분양가 상한제 시행과 글로벌 경제위기,경기 침체 등을 거치며 해마다 감소 추세다.

 한 대형 건설사의 관계자는 “지난해부터는 정부의 보금자리주택 공급으로 신규 주택사업을 중단했거나 보류한 건설사가 많다”며 “지방과 달리 수도권은 미분양 우려가 여전해 분양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건설사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내년 공급물량 중에는 신규 사업보다 주택경기 침체 등으로 올해 분양을 포기하고 내년으로 넘긴 것들이 상당수다.

 지역별 물량은 경기도가 7만1천844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 3만6천903가구,인천 1만7천38가구로 수도권(12만5천785가구)이 전체의 66.7%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서울 지역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은 대부분 조합원 몫으로 기존 조합원분을 뺀 나머지만 일반에 분양된다.

 지방은 최근 주택경기가 회복된 부산이 1만8천144여가구로 가장 많고,충남 5천961가구,대구 5천885가구,대전 5천336가구 등의 순으로 분양 계획이 잡혀 있다.

 단지 규모로는 500~1천가구가 7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1천가구 초과 단지가 66곳이다.

 건설사별로는 대우건설이 판교신도시 주상복합아파트와 서울 왕십리 3구역,북아현 1-2구역 등 일반 도급 및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을 통해 1만5천여가구의 최대 물량을 내놓는다.

 또 현대건설과 대림산업은 각각 1만1천여가구,GS건설은 1만여가구를 분양한다.아직 사업계획을 정하지 못한 삼성물산도 1만여가구 분양을 계획 중이다.

 롯데건설과 현대산업개발,한화건설은 각각 7천800여가구를 공급한다.

 그러나 계획 대비 실제 분양실적이 얼마나 달성될지는 미지수다.올해 민간 건설사들의 분양실적은 지금까지 8만9천781가구로 작년 말 수립한 분양계획(25만8천466가구)의 35%에 그쳤다.

 내년에 주택경기가 올해보다 나아진다면 실제 분양물량도 늘어나겠지만,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더 줄어들 공산도 크다.

 한 대형 건설사의 관계자는 “내년 주택경기가 불확실해 분양계획을 수립하기가 쉽지 않다”며 “분양물량과 시기는 그때그때 경기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건설사의 주택공급 물량이 감소하면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아직 분양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건설사들의 물량을 고려하더라도 내년 민간 분양물량은 예년보다 크게 줄어들 것 예상된다”며 “민간 건설사의 분양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부작용이 향후 3~4년간 계속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