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고위공직자 65% 재산 증가

부산 고위공직자 65% 재산 증가

입력 2010-04-02 00:00
수정 2010-04-02 1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산시장과 부산시의회 의원, 기초자치단체장 등 재산공개 대상 부산지역 고위공직자 중 65%가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를 통해 공개한 2010년 공직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공직자윤리법에 따른 부산지역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인 부산시장.행정부시장.정무부시장 등 3명과 자치구.군 단체장 16명, 시의원 44명 등 총 63명 중 65%인 41명이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신고했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최찬기 동래구청장으로 사업 소득과 예금이자 수입 증가 등으로 14억2천186만원이 늘어난 총액 92억9천691만원을 신고했다.

2008년 본인 명의의 건물 과표를 잘못 적용했다가 수정했다며 지난해 20억4천226만원이 늘어났다고 신고해 화제를 모았던 배덕광 해운대구청장은 올해도 1억653만원이 늘어난 52억209만원을 신고했다

재산총액에서는 백종헌(금정1) 부산시의회 의원이 8억6천578만원이 증가한 179억1천188만원을 신고, 부산지역 고위공직자 중 최고액을 기록했다.

백 의원은 중앙(708명)과 지방(1천143명) 등 전체 1천851명 중 재산총액 상위에서 3위를 차지하는 재력을 과시했다.

최대수(사하2) 시의원은 91억6천327만원을 신고했는데, 최 의원은 채권감소 등의 이유로 10억342만원이 감소했다.

제종모(중1) 시의회 의장도 차남에게 주식을 증여하는 바람에 15억6천392만원이 줄었다며 총액 63억1천6만원을 신고했지만, 재산총액 서열에서는 여전히 상위에 랭크됐다.

6.2 지방선거에서 3선에 도전할 허남식 부산시장은 공시가격 하락을 이유로 4천986만원이 준 12억4천163만원을 신고했고, 지방선거 이후 교육감직에서 물러날 설동근 부산시 교육감은 급여를 저축해 8천106만원이 늘어난 17억2천711만원을 신고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한편, 한국해양대 오거돈 총장은 12억374만원이 증가한 142억3천111만원을 신고해 중앙과 지방 통틀어 재산총액 순위 4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