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면을 잡고 도는 듯한 고속 커브… 최고 토크 구간 넓혀 힘있는 주행
국내 수입차의 주 소비층이 20∼30대까지 내려오면서 독일차 브랜드들이 앞다퉈 엔트리카(입문용 차량)를 내놓고 있다.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까지 예외는 없다. 한번 발을 담그면 상위 기종으로 갈아 타기도 쉬워 브랜드별 들이는 공도 만만치 않다. BMW가 내놓은 것은 대표 소형차인 1시리즈다. 지난 8일 신형 118d 스포츠 라인을 타고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강동대교~워커힐 언덕 구간을 거쳐 다시 삼성동으로 돌아오는 약 50㎞ 구간을 달려봤다.
BMW코리아 제공
BMW 라인업 중 가장 작은 차인 118d. 주행 성능만으로 보면 해당 모델은 상위 모델인 2시리즈를 능가하는 수준이다.
BMW코리아 제공
BMW코리아 제공
118d는 BMW 라인업 중 가장 작은 차에 속하지만 소형이라고 성능을 얕볼 것은 아니다. 비교적 짧은 시승 구간에도 자동차는 제 성격을 드러낸다. 한산한 도로에서 가속페달에 힘을 가하자 반응은 재빠르고 민첩하다. 속도계와 엔진 회전계 바늘이 마치 한 묶음으로 움직이는 느낌을 준다. 저속부터 고속에 이르기까지 치고 나가는 맛은 달리는 성능을 중시하는 BMW답다. 1995㏄ 직렬 4기통 직분사 방식의 터보 디젤엔진을 장착해 최고 출력 150마력, 최대 토크 32.7㎏·m의 성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100㎞/h까지 8.1초가 걸린다. 엔진 튜닝을 통해 기존 모델보다 7마력가량 힘이 붙었고 순간 가속력도 좋아졌다. 최고 토크가 나오는 구간도 전 모델에 비해 2배로 넓혀 저속부터 고속까지 넘치는 힘을 느낄 수 있게 했다. 한 급 위 전륜구동 모델 2시리즈 엑티브투어러(150마력, 최대 토크 33.7㎏·m)와 스펙 면에서는 거의 같지만 사실 달리는 능력만으로 보면 오히려 한 수 위다. 커브구간에서 속도를 내며 돌아도 노면을 잡고 돌아나가는 움직임이 믿음직스럽다. 전·후면 외관 디자인도 날렵한 느낌이 나게 변경했다. 전면부는 넓어지고 새 디자인의 헤드라이트를 달았다. 후면부도 후미등이 BMW 특유의 ‘L’자 형태로 바뀌어 차가 넓어 보이는 등 효과를 줬다. 유럽에서 실시한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인 별 5개 등급을 받았다는 점도 장점이다. 연비는 복합 기준 ℓ당 17.4㎞(고속 19.9㎞, 도심 15.7㎞)다. 엔진부터 디자인까지 적지 않은 변화를 줬지만 가격은 바뀌지 않았다. 뉴 118d 스포츠 라인 가격은 3890만원, 뉴 118d 스포츠 런치 패키지는 3950만원이다.
단 아쉬운 점도 눈에 띈다. 이전 제품과 동일하게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달았지만 내비게이션 기능은 없다. 만족스럽지 못한 성능에 달아 봐야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이가 많은 게 수입차의 현실이지만 정작 없으니 허전하다. 좁은 뒷공간도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성인 남성이 뒷자리에 앉으면 무릎이 앞좌석 시트에 거의 닿을 정도다. 운전을 좋아하는 젊은층 엔트리카로는 추천할 만하지만 아이 키우는 집 패밀리카로는 2% 부족한 대목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6-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