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파우더룸 제공)
K-뷰티 제품들이 일본에서 현지 브랜드 제품들과 경쟁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우수한 품질과 혁신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일본에서 K뷰티가 주목을 받는 가운데, 한국 내 일본 화장품의 인기 역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국내 유명 뷰티 플랫폼 ‘파우더룸’의 마케팅 노하우를 담은 K-뷰티 미디어 플랫폼 ‘파우더룸 재팬’이 분석한 한국 소비자 vs 일본 소비자의 차이점을 짚어봤다.
한국은 스킨케어만 6단계, 일본은 몇 단계일까? 먼저, 양국 소비자의 뷰티 제품 소비 행태를 보면 사용 제품 평균 개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스킨케어 제품을 평균 6.15개 사용하는 반면, 일본은 3.32개를 사용한다. 이는 한국이 스킨케어 시장에서 일본보다 시장 성숙도가 높음을 보여준다.
온라인 쇼핑의 경우, 한국은 일상화된 반면, 일본은 아직 화장품 온라인 구매율이 낮다. 구체적으로 한국에서는 뷰티 제품 온라인 구매가 일상이 되며 82%를 기록했으나, 일본은 43%에 불과해 뷰티 제품 구매 온라인 전환에 비교적 소극적인 모습이다. 또한, 피부 관련 영양제 섭취율과 뷰티 디바이스 사용률도 한국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튜브 vs 인스타그램 주요 정보 수집 채널도 국가별 차이를 보인다. 한국 소비자는 유튜브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 비해 일본 소비자는 인스타그램의 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포인트 메이크업 구매 시 고려사항의 경우, 한국 소비자는 효과와 사용감을 우선시하는 반면, 일본 소비자는 사용감과 더불어 가격과 예산도 중요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반적으로 한국은 일본에 비해 화장품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며, 1인당 소비 금액 또한 높은 시장임을 알 수 있다.
양국 뷰티 소비자를 살펴보면 국가별 시장 성숙도나 소비 행태가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카테고리별로도 차이가 크므로 일본 소비자는 물론이고 국내 소비자를 공략하려면 시장을 세분화하고 데이터로 기회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