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차 등 주요 신산업 분야 경쟁력이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도 벌어지고 있어 과감한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7일 ‘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보고서에서 한국, 미국, 중국의 9개 신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양호하지만, 나머지 8개 신산업은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9개 신산업은 지능형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인공지능, 실감형 콘텐츠, 사물인터넷(IoT) 가전, 지능형 로봇, 바이오헬스, 자율주행차 등이다.
특히 9개 신산업 모두는 미국보다 기술 수준 등 산업경쟁력이 낮았다. 더욱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IoT 가전, 이차전지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는 중국보다도 경쟁력이 떨어졌다.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위상도 2017년 매출 기준 세계 1위인 대형 OLED와 생산량 기준 1위인 대형 이차전지를 빼면 대부분 열세였다.
보고서는 “9개 신산업의 산업생태계가 약하고 중국이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면서 “신산업에 필요한 법·제도 정립과 규제 정비, 정부의 원천 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산업연구원은 7일 ‘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보고서에서 한국, 미국, 중국의 9개 신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양호하지만, 나머지 8개 신산업은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9개 신산업은 지능형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인공지능, 실감형 콘텐츠, 사물인터넷(IoT) 가전, 지능형 로봇, 바이오헬스, 자율주행차 등이다.
특히 9개 신산업 모두는 미국보다 기술 수준 등 산업경쟁력이 낮았다. 더욱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IoT 가전, 이차전지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는 중국보다도 경쟁력이 떨어졌다.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위상도 2017년 매출 기준 세계 1위인 대형 OLED와 생산량 기준 1위인 대형 이차전지를 빼면 대부분 열세였다.
보고서는 “9개 신산업의 산업생태계가 약하고 중국이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면서 “신산업에 필요한 법·제도 정립과 규제 정비, 정부의 원천 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4-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