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 효과로 수치 낮아졌지만 민간소비 반등… 성장세 견고
올해 2분기(4~6월) 우리 경제가 전 분기(1~3월)에 비해 0.6% 성장했다. 수치 자체는 낮지만 1분기 고(高)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그동안 부진했던 민간 소비가 반등한 점도 눈에 띈다. 올해 3% 성장률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분기 기저효과로 전기 대비 수치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성장세가) 견조한 모습”이라면서 “2분기에는 소비와 설비투자가 성장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2분기 민간 소비는 전기 대비 0.9% 성장했다. 2015년 4분기(1.5%) 이후 최고치다. 그동안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민간 소비가 이번에는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생산 측면에서 서비스업의 성장 기여도가 전체 0.6% 중 0.4% 포인트에 달한 것도 이러한 민간소비 반등과 관련돼 있다.
다만 수출과 수입은 마이너스(-) 성장으로 부진했다. 2분기 수출 증가율은 전기 대비 -3.0%, 수입 증가율은 -1.0%였다.
이제 관심사는 올해 3% 성장 여부로 옮겨 갔다. 2014년(3.3%)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3%를 넘은 적이 없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3~4분기에 각각 0.78% 이상의 성장률을 올리면 연 3% 달성이 가능하다. 추가경정예산이 3분기부터 집행되고, 지금과 같은 성장세가 유지된다면 무난하리라는 전망이다.
한은의 당초 성장률 전망치인 2.8%는 3~4분기에 각각 0.52% 이상씩 성장하면 달성 가능하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7-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