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인 10명 중 4명 이상이 효성이 만든 타이어코드(타이어의 내구성을 높이는 보강재)가 들어간 타이어를 사용한다. 10명 중 3명 이상은 효성이 만든 신축성 원사(크레오라)로 만든 옷을 입는다.
이미지 확대
올해 1월 취임한 조현준(오른쪽) 효성 회장이 경북 구미 공장을 찾아 생산 시설을 둘러보며 직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효성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올해 1월 취임한 조현준(오른쪽) 효성 회장이 경북 구미 공장을 찾아 생산 시설을 둘러보며 직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효성 제공
최근 소재산업시장이 공급과잉을 겪고 있음에도 효성의 시장 점유율은 압도적이다. 효성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기술력으로 맞서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스판덱스 원사 시장의 경우 세계적인 공급 증가로 가격 하락 등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효성 브랜드인 ‘크레오라®’은 다른 스판덱스 원사와 달리 바이어들의 주문이 늘고 있다. 기술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었고 생산시설을 늘려 시장 지배력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효성 관계자는 “독보적인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터키, 브라질, 베트남 등 글로벌 생산공급망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해 간다는 계획”이라면서 “또 철저한 시장 조사와 각 개별 고객에 특화된 고객지향적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장을 개척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효성은 올해 1분기에 중국 취저우의 스판덱스PU(Performance Unit) 공장이 완성되면 중국 및 글로벌 시장 1위 위치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타이어코드 부문도 수익성과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나일론 에어백과 안전벨트 판매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되기도 했다. 효성 관계자는 “소재 산업의 특성은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라면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현재 세계 1위인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지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7-02-24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