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수 한 그릇이 ‘밥 2∼3공기’ 열량

빙수 한 그릇이 ‘밥 2∼3공기’ 열량

입력 2016-07-14 08:49
수정 2016-07-14 08: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페베네 초코악마빙수.
카페베네 초코악마빙수.
당도 권장량의 두 배…컨슈머리서치 조사

무더운 여름 프렌차이즈 카페들이 다양한 ‘빙수’ 메뉴를 내놓고 손님을 유혹하고 있지만, 소비자 건강 측면에서 볼 때 빙수의 열량과 당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많게는 쌀밥 4∼5 공기에 해당하는 열량과 하루 권장량의 2∼3배에 이르는 당이 들어있는 빙수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카페 9곳에서 판매하는 79가지 빙수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1회 제공량(한 그릇)당 평균 열량은 700㎉로 집계됐다.

200g 흰 쌀밥 한 공기의 열량이 250~300㎉ 정도인 만큼 디저트로 빙수 한 그릇만 먹어도 밥 2~3 공기를 비운 것과 비슷한 셈이다.

이번 조사 대상 업체는 카페베네·뚜레쥬르·설빙·엔제리너스·이디야·파리바게뜨·파스쿠찌·투썸플레이스·할리스였고, 열량과 당 함량은 각 업체 홈페이지의 영양성분표와 각 업체가 제공한 별도 자료를 기준으로 삼았다는 게 컨슈머리서치의 설명이다.

특히 79가지 빙수 가운데 6개(7.6%) 메뉴의 경우 한 그릇 열량이 성인 1일 권장 열량(2천㎉)의 절반인 1천㎉를 웃돌았다. 결국, 빙수만 먹어도 하루 세끼 중 한끼 반 이상의 식사와 맞먹는 열량을 섭취한다는 얘기다.

개별 메뉴 가운데 열량이 가장 많은 제품은 카페베네 초코악마빙수(1천312㎉)로, 거의 두 끼 식사 수준이었다. 2~3위도 카페베네의 쿠키앤크림빙수(1천249㎉)와 녹차타워빙수(㎉)가 차지했다.

하지만 이들 카페베네 빙수의 1회 제공량이 803~926g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기 때문에, 같은 양을 비교했을 때 ‘최고 열량’ 빙수는 아니었다. 다만 두 명 정도가 빙수 한 그릇을 나눠 먹는다고 해도, 한 끼 식사(600~700㎉) 정도의 열량은 감수해야 했다.

정확한 빙수 중량을 공개한 43가지 메뉴 중 단위량(100g) 당 열량이 가장 큰 빙수는 투썸플레이스 아이스박스 케이크 빙수(1천124㎉·100g당 217㎉)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빙수의 평균 당 함량(87g)도 우려스러운 수준이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권하는 성인 하루 당류 섭취량(권장 칼로리의 10%·약 50g)의 거의 두 배에 이르는 양이다. 두 명이 빙수 한 그릇을 나눠 먹어도, 1일 권고량의 87%(43.5g)를 한꺼번에 섭취하게 된다.

더구나 79가지 빙수 중 26.6%(21가지)는 당 함량이 무려 100g을 초과했다.

한 그릇에 가장 많은 당류가 포함된 빙수는 파스쿠찌 망고 에스푸마 빙수(143.2g)였고, 이어 카페베네 초코악마빙수(141g), 엔제리너스 제주녹차빙수(134g)가 2~3위에 올랐다.

뚜레쥬르 자몽 빙수(126g), 투썸플레이스 청포도 라임 빙수(123g), 뚜레쥬르 망고치즈빙수(123g), 녹차빙수(122g), 이디야 치즈딸기빙수(121.1g), 눈꽃팥빙수(120g), 파리바게뜨 그때그시절 국산 팥빙수(118.5g), 설빙 요거통통메론설빙(117g) 등의 당 함량도 많은 편이었다.

단위량(100g)당 당류 함량 1위 빙수는 파스쿠찌 망고 에스푸마 빙수(143.2g·100g당 23.7g)로 조사됐다.

컨슈머리서치 관계자는 “여름철 디저트로 빙수를 즐기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디저트 빙수에 오히려 한 끼 식사 이상의 열량이나 하루 권장량과 비슷한 당분이 포함된 경우도 있는 만큼 업체의 영양성분표시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