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를 맡길 데가 없어요. 중소 조선소들 씨가 말랐다고요.”
해운업계가 비상이다. 연안 여객선, 연안 화물선, 상선 등 소형 선박을 건조할 중소 조선사들이 몰락하면서다. 2008년 이후 사라진 중소 조선소 수만 27곳에 이른다. 현재 명맥을 유지하는 중소 조선사들도 법정관리 문턱에 서 있다. 부산 지역 해운업체인 우양상선의 채영길 대표는 “최근 몇 년간 중소 조선소들이 죄다 망가져 발주를 하고 싶어도 할 곳이 없다”면서 “어쩔 수 없이 중국에 건조를 부탁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2008년 이후 27곳 사라져
25일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 조선소의 수주액은 약 13억 달러로 전체 수주 금액의 6%를 차지했다. 2007년 약 262억 달러의 수주(26.7%)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내리막길이다. 금융권도 중소 조선소를 외면하면서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이 사실상 중단됐다.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는 6곳의 조선소마저 사라지면 국내 조선업계는 대형 조선소 위주로 완전히 재편된다.
김우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은 “연안 여객선 등 취약 선종을 경쟁국에 뺏기지 않으려면 중소 조선소에 대한 성장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 빅 3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되는 것은 국내 조선산업의 선종 다양화, 사내 하청 확대라는 고용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박종식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박사는 “신규 수주 및 물량 지원, 선박금융 지원 체계 구축 등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중소 조선업계가 붕괴되면 기자재 업체 도산 등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日처럼 조선·해운 하나의 정책 필요”
일각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국토교통성 해사국 산하에 조선과, 해운과가 함께 있어 유기적인 공동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우리나라도 하나의 큰 그림 안에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해운업계가 비상이다. 연안 여객선, 연안 화물선, 상선 등 소형 선박을 건조할 중소 조선사들이 몰락하면서다. 2008년 이후 사라진 중소 조선소 수만 27곳에 이른다. 현재 명맥을 유지하는 중소 조선사들도 법정관리 문턱에 서 있다. 부산 지역 해운업체인 우양상선의 채영길 대표는 “최근 몇 년간 중소 조선소들이 죄다 망가져 발주를 하고 싶어도 할 곳이 없다”면서 “어쩔 수 없이 중국에 건조를 부탁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2008년 이후 27곳 사라져
25일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 조선소의 수주액은 약 13억 달러로 전체 수주 금액의 6%를 차지했다. 2007년 약 262억 달러의 수주(26.7%)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내리막길이다. 금융권도 중소 조선소를 외면하면서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이 사실상 중단됐다.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는 6곳의 조선소마저 사라지면 국내 조선업계는 대형 조선소 위주로 완전히 재편된다.
김우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은 “연안 여객선 등 취약 선종을 경쟁국에 뺏기지 않으려면 중소 조선소에 대한 성장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 빅 3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되는 것은 국내 조선산업의 선종 다양화, 사내 하청 확대라는 고용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박종식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박사는 “신규 수주 및 물량 지원, 선박금융 지원 체계 구축 등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중소 조선업계가 붕괴되면 기자재 업체 도산 등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日처럼 조선·해운 하나의 정책 필요”
일각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국토교통성 해사국 산하에 조선과, 해운과가 함께 있어 유기적인 공동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우리나라도 하나의 큰 그림 안에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5-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