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오창(한국)-홀랜드(미국)-난징(중국)’으로 이어지는 전기차배터리 ‘글로벌 3각 생산체제’를 완성했다. LG화학은 27일 중국 장쑤성 난징시 신강 경제개발구에서 난징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식을 했다고 밝혔다.
난징 공장은 축구장 3배가 넘는 크기인 2만5000㎡에 지상 3층 규모다. 연간으로 따지면 고성능 순수 전기차 5만대 이상(320㎞ 이상 주행 가능한 전기차 기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기준으로는 18만대 이상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27일 중국 남경에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식에서 참석자들이 준공 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장정진 남경 개발구 서기, 류이안 남경시 상무부시장, 장레이 강소성 부성장, 구몬부 LG 회장, 김장수 주중대사,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장진동 쑤닝 회장. LG화학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7일 중국 남경에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식에서 참석자들이 준공 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장정진 남경 개발구 서기, 류이안 남경시 상무부시장, 장레이 강소성 부성장, 구몬부 LG 회장, 김장수 주중대사,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장진동 쑤닝 회장. LG화학 제공
공장은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인 중국 고객 요구에 즉각 대응하도록 셀부터 모듈, 팩까지 모두 한데 생산하는 일괄생산체제로 구축된 것이 특징이다. LG화학은 중국 전기차 배터리 매출을 2020년까지 연간 1조 5000억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시장점유율 25%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LG의 배터리 사업은 1991년 당시 그룹 부회장이었던 구본무 회장이 영국 원자력연구원(AEA)에서 충전후 반복사용하는 2차 전지 샘플을 직접 가져와 개발을 지시하면서 시작됐다. 구 회장은 이번 난징 공장도 2010년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과 2011년 충북 오창 공장에 이어 직접 준공식을 챙겼다. 전기차 배터리를 글로벌 선도 사업으로 육성하려는 구 회장의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
한편 오창-홀랜드-난징 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서 LG화학은 세계 최대 생산능력(고성능 순수 전기차 18만대, PHEV 기준 65만대)을 갖추게 됐다. 향후 미국과 중국 공장은 현지 수주 물량을 생산하고 오창공장은 한국 수주 물량 생산과 물량 조절 기능을 맡을 계획이다. LG화학은 또 2020년까지 생산 규모를 현재보다 4배 이상 늘려 고성능 순수 전기차 20만대 이상(PHEV 기준 70만대)에 배터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