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월급 300만원 이상’ 19% 그쳐
20대 후반(25~29세) 청년 10명 중 2명만이 월급 300만원 이상을 받는 ‘양질의 일자리’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각종 규제와 대기업의 수직 계열화로 성장이 더딘 서비스업을 키워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최경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서비스산업과 청년 일자리에 대한 토론회’에서 “국내에서 금융·보험, 교육, 보건·의료, 관광 등 7대 유망 서비스산업 성장이 정체돼 청년 일자리 창출이 어려워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로 최근 청년 실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20대 후반 남성 실업률은 9.0%였지만 지난해는 10.1%로 높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9.7%)보다 높고 일본(5.6%), 미국(7.4%), 영국(7.4%)을 훌쩍 뛰어넘었다. 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으면서 구직 의욕마저 없는 ‘니트족’(NEET) 비중은 2005년 13.7%에서 2015년 16.7%로 늘었다.
최 부장은 “청년층은 ‘좋은 일자리’를 얻지 못하면 ‘나쁜 일자리’에 취업할 수밖에 없는데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취업 연기를 선택한 것”이라면서 “청년 실업을 줄이기 위해서는 청년층의 취업 기회가 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많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2년 고용노동부의 임금구조를 조사한 결과 20대 후반 근로자 중 18.9%만이 월급 300만원 이상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업과 보험연금업의 전체 근로자 중 20대 후반의 비중은 각각 2.3%, 1.5%에 그쳤다. 최 부장은 “서비스업은 그동안 내수 시장에 안주하다 보니 경쟁력이 미흡했고, 이제는 서비스 수출에 눈을 돌려야 할 때”라면서 “외국환자 한 명의 평균진료비는 액정표시장치(LCD) 9.5대를 수출하는 것과 맞먹는다”고 말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0-2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