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호 한국제약협회 회장
창립 70주년을 맞은 한국제약협회가 업계 고질병으로 꼽히는 ‘리베이트’ 관행에 대해 ‘의심 회원사’를 공개하는 등 초강수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경호 제약협회장은 19일 서울 서초구 제약회관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구체적인 리베이트 근절 방안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이 회장은 “리베이트 의심 업체로 지목된 업체를 공개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외부 기관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의 의견이 실무위원회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제약협회는 4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무기명 설문조사로 리베이트가 의심되는 회원사에 대한 정보를 모았다. 11월에도 한 차례 더 설문조사를 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또 리베이트 근절을 위해서는 제네릭(복제약) 허가 조건이 보다 까다로워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최근 오리지널약의 특허가 끝나 국내 제약사의 경쟁이 치열해진 바라크루드(간염치료제)와 시알리스(발기부전 치료제) 등을 언급하면서 “수많은 제네릭이 과도하게 경쟁하는 것이 리베이트의 근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제약협회에서는 과당경쟁이 곧 리베이트 악몽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스스로 다짐하고 회원사에도 꾸준히 경고와 독려의 메시지를 전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약협회는 1945년 65개 제약기업이 모여 설립한 ‘조선약품공업협회’가 전신이다. 현재 201개 제약사가 회원사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