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회식 몇번 하는게 적당할까…”한달에 한번”

직장 회식 몇번 하는게 적당할까…”한달에 한번”

입력 2015-08-11 08:17
수정 2015-08-11 08: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악 회식 ‘과음 후 필름 끊겼을 때’…최고 회식은 ‘경기장서 치맥’현대차그룹 임직원 설문 결과

우리나라 대기업 직장인들은 회식을 얼마나 자주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국내 최대 완성차업체인 현대자동차그룹 임직원들은 한 달에 한 번 정도의 직장 회식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개인 또는 가족 중심의 문화가 확산하면서 대기업에서도 회식은 이제 될 수 있으면 피해야 할 행사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임직원 801명을 대상으로 ‘회식은 얼마나 자주 하는 게 적당할까’라고 물어보니 응답자의 41%가 ‘월말 결산하듯’ 한 달에 한 번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응답자의 26%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분기에 한번 하는 게 좋다’고 답할 정도로 회식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응답자의 24%는 ‘한 달에 한 번은 정이 없다’면서 보름에 한 번씩 회식하는 게 적당하다고 봤다.

’일 년에 한 번’과 ‘일주일에 한 번’은 각각 응답자의 4%였으며 매일 회식하자는 응답자는 전체의 1%에 불과했다.

회식과 관련해 잊고 싶은 비화에 대한 설문에는 전체의 53%가 분위기에 취해 필름이 끊길 때까지 음주해 다음날 기억이 가물가물했던 사례를 꼽았다.

이어 ‘평소 친해지고 싶었던 동료에게 취기를 빌려 속마음을 말해버렸다’(11%), ‘분위기도 파악 못 하고 눈치 없이 값비싼 메뉴를 주문했다’(10%), ‘음식 서빙하다 서툴러 실수를 연발했다’(9%) 순이었다.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해보고 싶은 직장 회식은 ‘열정을 쏟아내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치맥과 함께하는 회식’(23%)이 1위였다.

’우아한 분위기의 레스토랑에서 하는 정찬 회식’(22%), ‘회식의 정석은 역시 고깃집에서 정겹게’(20%), ‘영화관이나 미술관에서 하는 회식’·’볼링이나 당구 같은 게임을 하는 회식’(16%)이 뒤를 이었다.

회식이 절실하게 생각날 때는 ‘팀 분위기를 빵빵 띄우고 싶을 때’가 전체 응답자의 49%로 압도적이었다.

회식이 반갑지 않을 때는 ‘피곤에 취했을 때’(40%), ‘업무가 교통 체증처럼 밀려올 때’(23%), ‘다음날 중요한 일정이 있을 때’(15%) 순이었다.

현대차그룹 직원들의 회식 추억담도 눈길을 끌었다.

한 직원은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선배들이 주는 술을 계속 받아마시고 다음날 눈을 떴는데 오전 10시라 크게 지각했다면서 그 이후 입사 8년차가 된 지금까지 회식 다음날 결코 지각한 적이 없다고 회고했다.

취기에 사수에게 불만을 토로했다가 화가 난 사수가 나를 잡겠다고 쫓아다녀 한 시간 넘겨 추격전이 벌어졌던 일화도 있었고 처음 입사했을 때 선배들이 잘생기고 똑똑한 신입사원이 들어왔다며 매일 돼지갈비를 사주었던 때가 기억났다는 직원도 있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