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메르스 관련 테마주와 악성 루머에 대해 집중 감시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자본시장조사단과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와 함께 메르스 관련 종목에 대한 시세조종 행위 등에 합동 대응하겠다고 8일 밝혔다. 메르스 테마주로 언급되는 종목의 반복적 고가 매수를 통한 시세 조종 유인, 과도한 허수 주문, 초단기 시세 관여와 상한가 굳히기 등이 집중 단속 대상이다. 인터넷 증권게시판 등을 통해 메르스 관련 풍문을 유포해 주가가 급등할 것처럼 매수를 부추기는 행위도 주요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거래소는 메르스 관련 급등 테마주를 ‘투자주의’, ‘경고’, ‘위험’ 등 시장경보 종목으로 지정하고 시세 관여 등의 불건전 매매에 대해서는 즉시 수탁거부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한편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는 15일 시행되는 증시 가격 제한폭 확대와 관련해 “신용융자 등으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거래소와 금감원에 주문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금융위원회는 자본시장조사단과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와 함께 메르스 관련 종목에 대한 시세조종 행위 등에 합동 대응하겠다고 8일 밝혔다. 메르스 테마주로 언급되는 종목의 반복적 고가 매수를 통한 시세 조종 유인, 과도한 허수 주문, 초단기 시세 관여와 상한가 굳히기 등이 집중 단속 대상이다. 인터넷 증권게시판 등을 통해 메르스 관련 풍문을 유포해 주가가 급등할 것처럼 매수를 부추기는 행위도 주요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거래소는 메르스 관련 급등 테마주를 ‘투자주의’, ‘경고’, ‘위험’ 등 시장경보 종목으로 지정하고 시세 관여 등의 불건전 매매에 대해서는 즉시 수탁거부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한편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는 15일 시행되는 증시 가격 제한폭 확대와 관련해 “신용융자 등으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거래소와 금감원에 주문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5-06-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