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 암초… 추가비용 불가피
외국계 헤지펀드가 삼성이 추진 중인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에 ‘딴지’를 걸고 나섰다. 두 회사의 합병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삼성은 이들의 방해를 제거하기 위해 당초 예상보다 더 많은 비용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 측은 이에 “합병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면서도 난감한 기색이 역력하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간 합병은 지난해 5월 이건희 회장 와병 이후 속도를 내고 있는 이 부회장 승계를 위한 핵심 절차로 간주돼 왔다. 양사 간 합병으로 현재 0.57% 수준인 이 부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율을 5%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어 삼성 입장에서는 반드시 성사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복병을 만난 셈이다.
업계에서는 엘리엇을 합병 과정에서 차익 실현을 위해 끼어든 ‘먹튀’로 보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두 회사가 최근 합병을 결의한 이후 주가가 모두 올라 아무도 합병 반대 의사를 제기하지 않는 상황인데 유독 엘리엇 측만 ‘주주 이익’을 문제 삼아 보유 지분을 늘리면서 반대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국계 펀드들이 국내 대기업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 개입했다가 시세 차익을 실현하고 떠난 사례는 부지기수다. 2003년 소버린자산운용이 SK㈜ 주식을 매입해 2대 주주에 오른 뒤 SK에 대해 경영권 공격을 벌이다가 1조원에 육박하는 차익을 남기고 떠난 게 대표적이다. 이번에도 ‘지분(5% 이상) 매입→경영권 개입 의사 표시→경영권 분쟁→주가 상승→차익 실현’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엘리엇은 물론 다른 투자자들 입장에선 투자 수익이 중요하기 때문에 합병 자체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면서 “이번 사건이 두 회사 간 합병 무산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소식으로 삼성과 엘리엇 측의 지분 확보 경쟁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이날 삼성물산 주가는 전날보다 10.32%(6500원) 오른 6만 9500원에 마감됐다. 하루 거래량이 1086만여 주로 전날의 배를 넘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6-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