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1% 오르면 저소득·39세 이하 소비 각각 0.09%·0.08% 줄어
늘어나고 있는 월세가 가계소비를 줄이고 소득분배를 악화시킨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은행 조사국의 김정성 과장은 4일 발표한 ‘주택시장의 월세 주거비 상승이 소비 및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전세에서 월세로 바꾼 가구의 소비성향을 분석한 결과 월세가 1% 오르면 전체 가계의 소비가 0.02%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소비가 0.09% 줄어 타격이 심했고 중소득층은 0.02% 감소로 분석됐다. 고소득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런 차이는 저소득층의 월세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소득 하위 20%의 월세 비중은 33%인 반면 상위 20%의 월세 비중은 8.1%에 그쳤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39세 이하 가구의 소비가 0.08%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세가 오른다고 집주인의 소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집주인이 월세 수입을 소비하기보다는 주로 저축했기 때문이다. 실제 2012년 전세에서 2014년 월세로 전환한 임대인 가구의 저축액은 평균 285만원 늘어났다.
월세 상승은 소득 분배도 악화시켰다.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득을 하위 20%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의 월세 주거비에 대한 탄력성은 0.5 정도로 추정됐다. 즉 월세가 1% 오르면 소득격차가 0.5%가량 커진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월세 비중이 늘어나면서 월세 상승→경직적 지출 증가→재산 형성 제약 등의 경로로 소득 분배가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6-0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