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5년 9개월 만에 최고
실질 국민소득이 5년여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 이자·배당소득 등 자산가의 소득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늘어난 소득도 가능한 한 쓰지 않고 저금해 저축률이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자가 해외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소득 증가에 따른 ‘낙수 효과’는 사라졌다.
늘어난 소득은 소비로 가지 않았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총저축 비중을 나타내는 총저축률이 36.5%다. 이는 전기보다 1.8% 포인트 오른 것으로, 1998년 3분기 37.2% 이후 17년여 만에 가장 높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3.6% 늘었지만, 최종소비지출은 0.7% 증가에 그쳤기 때문이다. 여윳돈이 늘어나 저금을 늘렸다기보다는 당장 생활비 압박과 미래 불안 등이 겹쳐 돈을 안 썼다는 의미다. 김영태 한은 국민통계부장은 “최근 소비 부진이 반영돼 저축률이 높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저축을 통해 마련된 돈은 결국 우리 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의 소비와 투자 여력을 높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국내 투자는 부진한 반면, 해외 투자는 활발하다는 점이다. 국내 총투자율은 전기보다 0.6% 포인트 하락한 28.1%다. 이는 2013년 2분기 28.1%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국외 투자율은 전기보다 2.5% 포인트 증가한 8.6%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3분기 8.7% 이후 가장 높다. 최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이 인도에 공장 추가 건설계획을 밝히고 있어 국외 투자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기 대비 0.8%다. 지난달 발표된 속보치와 같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6-0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