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는 지난 16일 부산시와 함께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를 출범시켰다. 이 센터는 롯데의 사업 경쟁력과 연계돼 창조경제의 실크로드를 조성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미지 확대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롯데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안 ‘스마트 스튜디오’에서 혁신 상품의 판매 방송이 제작되고 있다. 롯데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롯데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안 ‘스마트 스튜디오’에서 혁신 상품의 판매 방송이 제작되고 있다. 롯데그룹 제공
특히 롯데는 국내 1위 유통그룹으로서 상품성 제고 노하우와 전문성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국내외에 1만 5000여개 점포망도 구축하고 있어 유통 계열사를 중심으로 혁신 상품의 든든한 지원군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롯데는 부산센터를 혁신 상품의 기획, 디자인, 브랜드 마케팅, 판로 개척을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센터에는 유통에 대한 기본 지식이 부족한 창업자와 중소·벤처 기업들이 상품 기획에서 입점까지 전 과정을 멘토링받을 수 있는 ‘옴니미팅룸’이라는 공간이 마련됐다. 롯데의 유통 전문가(MD)가 센터에 상주하면서 창업자·중소·벤처기업에 시장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상품개발 방향, 기능개선 방안 등을 상시 상담한다. 또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요일별로 롯데의 5개 유통채널(백화점, 마트, 슈퍼, 홈쇼핑, 닷컴) 유통 전문가가 심층 상담을 진행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 혁신을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개발 상품의 마케팅 지원을 위해 홍보영상 제작, 홈쇼핑·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스마트 스튜디오’도 운영하고 있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오는 6월부터 롯데의 유통망과 정부의 공영 홈쇼핑을 통해 판로 개척을 집중 지원하는 ‘혁신상품인증제’도 시행한다. 이 제도는 전국 혁신센터에서 사업화에 성공한 제품 가운데 우수 상품을 혁신 상품으로 인증하는 것이다.
2015-03-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