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실업률 5.5% 6년 9개월 만에 최저 “금리 조기 인상” vs “개인 소비 제자리”
미국의 실업률이 거의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기준금리 조기 인상설이 힘을 받고 있다.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실업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제로(0) 수준의 금리를 예상보다 앞당겨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실업률이 전달보다 0.2% 포인트 떨어진 5.5%로, 2008년 5월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준이 경제 전망에서 ‘완전 고용 상태’로 간주한 실업률 5.2~5.5% 범주에 다가간 것이다.
고용시장이 나아지면서 오는 6월 또는 9월로 전망됐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6월로 앞당겨지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 닐 두타 수석애널리스트는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 “6월이 기본이며 9월 인상 가능성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의 적절한 시점으로 6월을 제시한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준 총재도 최근 한 인터뷰에서 “가장 유력한 금리 인상 시기는 6월”이라고 재확인했다. 블룸버그는 “연준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오는 3월 회의(17~18일) 후 금리 인상 전 ‘인내심’ 또는 ‘상당 기간’이 필요하다는 표현을 삭제할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전했다.
그러나 실업률이 내려가도 임금 상승이 미약하고 물가상승률도 낮아 금리 인상 압박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 1월 전달 대비 0.5% 오른 평균 시급은 2월에는 0.1% 오르는 데 그쳤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수준 판단 지표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은 1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2% 상승, 목표치인 2%를 넘어선 적이 없다. 조너선 라이트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금리 인상 시기는 노동시장보다 인플레이션에 더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또 물가 상승 위험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완전고용 수준은 5% 정도로, 아직 금리 인상 요인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3-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