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0일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소비와 투자심리 개선 등 긍정적 조짐이 있지만 주요 지표들이 월별로 큰 변동성을 보이는 등 아직 내수 회복세가 공고하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이날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고용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유가 하락으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으며, 설 이동 등 일시적 요인으로 주요 지표들이 조정을 받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1월 소매판매는 담배 판매 감소와 지난해 1월에 있던 설 명절의 2월 이동에 따른 음식료품 등 판매 둔화로 1년 전보다 3.1% 감소했다.
그러나 2월 소매판매는 이연된 설 관련 수요 등으로 1월의 일시적 부진에서 벗어나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2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1년 전보다 각각 7.1%와 30.5% 늘어 5개월 연속 감소세에서 반등했다. 휘발유 판매량과 신용카드 국내승인액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폭도 각각 12.5%와 10.0%로 확대된 모습이다.
그러나 국산 승용차 내수판매량은 1년 전보다 3.8% 감소했고, 휴대전화 번호이동판매도 58만대로 1월의 75만7천대보다 줄었다.
2월 소비자물가는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상승률이 둔화됐다. 다만 수요 측 요인을 반영하는 근원물가는 2%대 상승세를 지속 중이다.
광공업 생산은 연말 자동차 밀어내기 생산 등으로 큰 폭 증가했던 여파로 1월에는 전월 대비 3.7% 감소했으나 2월에는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 흐름을 재개할 것으로 기재부는 전망했다.
2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와 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제품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3.4% 줄었다.
지난 2월 주택시장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승세를 지속했다.
세계 경제의 경우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과 엔화 약세, 산유국 경제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기재부는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설 이동 등 일시적 요인이 있어 1월과 2월 지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판단해야 하겠지만, 경기 회복세가 그렇게 공고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재부는 이날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고용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유가 하락으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으며, 설 이동 등 일시적 요인으로 주요 지표들이 조정을 받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1월 소매판매는 담배 판매 감소와 지난해 1월에 있던 설 명절의 2월 이동에 따른 음식료품 등 판매 둔화로 1년 전보다 3.1% 감소했다.
그러나 2월 소매판매는 이연된 설 관련 수요 등으로 1월의 일시적 부진에서 벗어나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2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1년 전보다 각각 7.1%와 30.5% 늘어 5개월 연속 감소세에서 반등했다. 휘발유 판매량과 신용카드 국내승인액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폭도 각각 12.5%와 10.0%로 확대된 모습이다.
그러나 국산 승용차 내수판매량은 1년 전보다 3.8% 감소했고, 휴대전화 번호이동판매도 58만대로 1월의 75만7천대보다 줄었다.
2월 소비자물가는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상승률이 둔화됐다. 다만 수요 측 요인을 반영하는 근원물가는 2%대 상승세를 지속 중이다.
광공업 생산은 연말 자동차 밀어내기 생산 등으로 큰 폭 증가했던 여파로 1월에는 전월 대비 3.7% 감소했으나 2월에는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 흐름을 재개할 것으로 기재부는 전망했다.
2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와 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제품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3.4% 줄었다.
지난 2월 주택시장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승세를 지속했다.
세계 경제의 경우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과 엔화 약세, 산유국 경제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기재부는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설 이동 등 일시적 요인이 있어 1월과 2월 지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판단해야 하겠지만, 경기 회복세가 그렇게 공고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