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평판TV 점유율 40% 1위… 북미는 35%
삼성전자가 주요 프리미엄 TV 시장으로 꼽히는 유럽에서 4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24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유럽 평판 TV 시장에서 39.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전체 평판 TV 시장 점유율 29.2%보다 10.5% 포인트 높은 수치다.
삼성전자는 북미 평판 TV 시장에서도 35.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000년대 초만 해도 삼성전자의 북미시장 매출 점유율은 13개 제조사 가운데 12위에 랭크되는 등 꼴찌에 가까웠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이 가장 큰 TV 시장으로 떠올랐지만 유럽이나 북미시장은 여전히 중요한 TV 시장의 격전지로 꼽힌다”면서 “두 시장은 삼성전자가 이미 현지화를 마친 데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등 매년 공을 많이 들이는 곳”이라고 말했다.
브라운관 시절만 하더라도 만년 적자를 면치 못했던 삼성전자는 어떻게 반전을 이뤄 냈을까. 일단 2000년대 중반 LCD 기술을 선도하며 프리미엄 이미지를 선점한 게 주효했다.
삼성전자는 2006년 당시 윤종용 고문, 최지성 대표, 윤부근 사장 등 TV사업부 임원 40여명으로 구성된 ‘TV 일류화 위원회’를 구성, 500여명의 반도체 인력을 대거 수혈하는 등 TV 사업에 사활을 걸었다.
이렇게 탄생한 제품이 소니를 제치고 처음으로 삼성전자에 1등을 안겨 준 ‘보르도 LCD TV’다. 이 제품은 스피커를 TV 밑으로 내리고 TV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는 등 획기적인 디자인으로 시장 판도를 뒤집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가옥 구조상 북미는 큰 화면을 좋아해 PDP도 잘 나가는 반면 유럽은 작지만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한편 과거 전통 TV 명가로 이름을 날렸던 소니는 지난해 유럽 평판 TV 시장에서 9.2%의 점유율을, 북미에서는 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LG전자는 각각 22.7%, 13.9% 점유율로 유럽에서는 2위를, 북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북미에서는 현지 업체인 비지오가 삼성에 이어 15.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2-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