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年9.9% 증가 ‘대조’
한국 기업의 대(對)중국 직접투자(FDI) 규모가 최근 5년간 연평균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업 투자 비중이 줄고 있어 향후 국내 기업의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2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2007년부터 올해 4월까지 한국 기업의 연평균 대중국 FDI 증가율은 -5.4%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전세계 대중국 FDI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5.4%에서 지난해 2.2%로 축소됐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와 올해 1분기 대중 투자를 크게 확대하는 등 대중국 FDI를 최근 5년간 연평균 9.9% 늘렸다.
한국 기업은 또 대중국 직접투자 추세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바뀌고 있음에도 제조업 투자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국 투자 중 제조업 비중은 2007년 69.2%에서 지난해 77.4%로 상승했으며, 전세계 평균치 44.9%를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서비스업 투자 비중은 30%대에서 20%대 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금융센터는 “우리나라의 경우 대중국 FDI 감소세가 다른 국가보다 커 향후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중국 차기 총리로 확실시되는 리커창(李克强) 상무부총리는 최근 “내수 확대는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구조조정의 핵심과제”라고 말하는 등 연일 내수시장 확충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의 중국 내수시장 점유율은 2010년 현재 5.9%로, 경쟁국인 일본(11.6%)과 미국(8.3%), 독일(7.5%) 등에 비해 낮은 편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5-2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