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조달 세부 내역 공시
LG전자가 최근 유상증자를 의결한 1조원 가운데 6000억원가량을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전화 사업에 투자한다. 유상증자로 마련한 ‘종잣돈’을 LG전자 위기의 진원지인 스마트폰 부문에 쏟아부어 단시일 내에 경쟁력을 회복하겠다는 판단이다.LG전자는 지난 3일 발표한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관련해 자금 조달의 세부 내역을 7일 확정 공시했다.
●단시일 내 경쟁력 회복 노려
공시에 따르면 LG전자의 총 투자자금은 1조 1539억원으로, ▲스마트폰, TV, 가전 등 주력 사업 경쟁력 강화 ▲미래성장동력 사업 투자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등 3개 분야에 쓰이게 된다. 이 가운데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은 1조 621억원이며, 나머지 900여억원은 자체 보유자금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우선 LG전자는 총 투자자금 가운데 53%인 6109억원을 휴대전화 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1년 이상 LG전자의 발목을 잡고 있는 ‘스마트폰 쇼크’를 내년에는 확실하게 떨쳐버리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전 사업의 해외법인 신규 설립 및 확장에 1864억원을 사용하고, 모바일 커뮤니케이션(MC) 사업본부 연구개발(R&D) 연구동 신축과 장비 투자에 853억원,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개발·생산에 631억원을 투입한다. TV 해외 공장 혁신과 생산 기지 확장에도 1324억원을 쓸 계획이다.
●총 투자금 53% 휴대전화에 집중
에어컨&에너지솔루션(AE) 사업본부에 136억원을 투자해 에어컨 신모델의 금형 개발을 추진하고, 독립사업부의 부품 및 소재사업 강화에 162억원, 생산기술원 경쟁력 강화에 1044억원을 각각 할애했다.
운영자금 4625억원은 전액 MC본부의 R&D에 쏟아부어 LTE 신규 모델 및 선행기술 등에 투자해 스마트폰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공시는 말 그대로 증자에 대한 사용 목적을 설명한 것이고, (증자분을 포함한) 전체 투자 규모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이라면서 “확보한 자금의 절반이 넘는 금액을 스마트폰에 쏟아부어 시장에서 반등을 노린다는 것이 가장 큰 증자의 목적이며 신성장 분야에도 일정 부분 자금을 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11-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