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위스키 시장에서 2위로 내려앉은 페르노리카 코리아 장마누엘 스프리에(49) 신임대표의 취임 일성이다. 지난해까지 임페리얼 12년산을 앞세워 국내 위스키 시장을 평정했던 페르노리카 코리아는 올 들어 윈저 12년산(디아지오 코리아)에 밀려 2위 자리로 내려앉았다. 최근 한국지사 최고경영자(CEO)로 부임한 스프리에 대표는 지난 2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기존과 다른 획기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위스키 시장 1위 자리를 되찾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가을엔 위스키와 함께 페르노리카 코리아 모델들이 28일 서울 광화문 가든플레이스에서 향미와 포장을 리뉴얼한 임페리얼 위스키를 선보이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을엔 위스키와 함께
페르노리카 코리아 모델들이 28일 서울 광화문 가든플레이스에서 향미와 포장을 리뉴얼한 임페리얼 위스키를 선보이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위스키 시장 1위 탈환을 위한 ‘비밀병기’는 임페리얼 위스키 12년산과 17년산 리뉴얼 제품이다. ‘임페리얼 클래식 12’의 경우 부드럽고 달콤한 배향과 라임향이 어우러졌으며 특유의 바닐라 맛도 한층 부드러워졌고 ‘임페리얼 17’은 긴 시간 오크통에서 배어 나온 깊고 투명한 담갈색이 맛의 깊이를 더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페르노리카 코리아 관계자는 “크리미한 바닐라 맛을 더 강조해 소비자들이 더욱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감각적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층을 고려해 기존의 종이 라벨 대신 투명 접착 라벨을 사용해 절제된 세련미를 강조했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1-08-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