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준희 기업은행장
→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져 있다. 총평은.
-실물경제의 문제라기보다는 심리적 문제가 부각된 것 같다. 영원할 줄 알았던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되니 심리적 충격이 컸다. 미국 기업 가운데에서도 애플이 760억 달러의 현금을 내부에 유보하고 있다는 것은 투자를 하기에 불투명한 시장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말과 같다. 실물경제까지 무너질까 걱정이지만, 아직은 냉정하게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다르게 생각하면 이번 사태가 끝난 뒤 또 배우면 된다. 보통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을 어리석은 짓에 빗대 쓰지만, 사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조직은 성공한다. ‘설마 또 소를 잃겠어?’라고 생각하는 조직이 실패한다. 우리는 여러 차례의 금융위기에서 소를 잃었지만 그때마다 정신을 차리고 외양간을 고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시중은행 5곳은 지난달 중소기업 대출을 2조 8941억원 늘렸는데, 2009년 4월 이후 최대 증가폭이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회수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상반기에 기업은행 내부적으로 위기가 찾아왔을 때에도 중소기업 대출을 유지하고 늘릴 수 있는 준비를 취해 왔다. 리먼 사태 이후 위기가 다시 발생할 상황에 대비해 한계기업을 집중관리하고 리스크 관리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를 넘어 최근에는 중소기업 간에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어서 한계기업에 대한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호수에서 오리가 평온하게 떠 있는 것 같지만 수면 아래에서 물갈퀴는 1분, 1초도 쉬지 않는다. 바깥에서 보기에 평온하더라도 쉬지 않는 리스크 관리를 해 왔고, 하반기 핵심 목표로 건전성 관리와 내실균형을 세워 뒀다.
→금융위기 국면에서 중소기업들의 자금 여력을 평가해 달라.
-우리 사회가 제일 걱정하는 게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가 심화된다는 점이다. 대기업과 1차 하청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의 경우 내부유보금을 쌓을 여력이 거의 없다는 게 걱정스럽다.
→시중은행 유동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은행들은 올해 상반기 1조원 안팎의 많은 이익을 냈다. 그만큼 유동성 측면에서 여력이 생겼다고 할 수 있다. 단, 금융기관의 근본은 예금과 대출이다. 기업이나 개인이 어려움을 겪어 예금을 빼내면 금융기관도 어려워진다. 우리 금융기관이 ‘나무’라면 글로벌 경기는 ‘숲’과 같다. 나무가 튼튼해도 숲에서 불이 난다면 위기를 피할 수 없다. 외환관리에 대해서는 은행들이 단단히 다져야 하는 게 옳고, 기업은행도 대비를 철저히 하겠다.
→중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데, 기업은행의 역할은 무엇인가.
-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로 낮은 저소득층을 위한 대출을 취급하는 미소금융 지점을 올해 연말까지 19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상반기에 5곳을 신설했고, 하반기에는 9곳을 추가로 낼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특히 지점 바로 위층에 미소금융 지점을 낸 곳이 많다. 미소금융의 도움을 받아 시작한 사업이 번창해 가게를 늘리면 기업은행을 이용해 줄 것이라는 마음에서다.
홍희경·오달란기자
saloo@seoul.co.kr
2011-08-1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