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찬바람 대전’

삼성·LG ‘찬바람 대전’

입력 2011-06-14 00:00
수정 2011-06-14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어컨시장도 ‘1위 논쟁’ 하우젠 스마트 매출 6배↑ 휘센 “점유율 3% 앞서”

올해 들어 냉장고, 드럼세탁기, 입체영상(3D) TV 등에서 ‘1위 논쟁’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에어컨 분야에서도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올해 여름이 일찍 찾아와 에어컨 성수기가 앞당겨진 상황에서 삼성은 냉방 성능을 크게 높인 프리미엄 에어컨을 내놓아 1위 탈환을 장담하고 있고, LG도 신기술을 적용한 새 제품을 앞세워 시장 수성을 자신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쾌적한 바람에 전기료는 낮춰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효자 상품인 ‘하우젠 스마트 에어컨’의 활약으로 올해 1~5월 200만원 이상 프리미엄 제품군의 판매가 지난해보다 600%가 넘는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전체 에어컨 매출이 80%가량 늘었다.

하우젠 스마트 에어컨은 0.1도의 미세한 온도 변화에도 압축기 운전을 10~160% 스스로 조절하는 인버터를 채용해 전력 소비를 최대 87%까지 줄여준다. 덕분에 이 제품을 하루 12시간 틀어도 60㎡(18평형) 제품의 전기료는 월 9950원으로 지난해 출시된 일반형 에어컨(7만 8860원)의 12.6%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올해 국내 에어컨 시장에서 LG전자를 따라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에어컨 기술이 크게 업그레이드되고 디자인도 슬림해지면서 소비자들이 휴대전화, TV처럼 에어컨도 ‘삼성’ 브랜드를 1등 제품으로 여기기 시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LG전자 역시 휘센에어컨을 앞세워 한 해 농사를 판가름하는 예약 판매에서 높은 예약률을 기록하고 있다. ‘마린보이’ 스페셜 모델 등 250만원 이상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가 82% 늘어나는 등 1월부터 5월 중순까지 에어컨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늘었다. LG전자는 2003년부터 8년간 100여명의 연구원이 설악산 가장 쾌적한 곳을 찾아 바람 속도, 주기, 주파수를 측정해 자연에 80% 이상 근접한 ‘숲 속 바람’을 재현하는 등 ‘4D 입체냉방’으로 에어컨 개념을 바꾼 것은 물론 전기료는 낮추고 냉방력은 높여주는 ‘슈퍼 인버터’ 기술을 전 모델로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삼성이 지난해부터 시장점유율을 늘려온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우리가 3% 이상 삼성을 앞서고 있다.”며 1위 수성을 자신했다.

●김연아·박태환 모델 경쟁도 볼만

국내에서 해마다 200만대 정도 팔리는 가정용 에어컨 시장은 지난 40년간 LG전자가 우위를 지켜왔다. 하지만 2~3년 전부터 삼성전자가 과거 LG의 아성이던 생활가전 분야에 적극적으로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김연아 등 스타를 앞세운 적극적인 마케팅과 가격 할인 정책 등을 통해 국내시장 1위를 두고 LG와 ‘엎치락뒤치락’ 경쟁을 펼치는 수준까지 따라왔다.

특히 올해는 에어컨 수요가 크게 늘어 7~8월에는 에어컨 품귀현상까지 일어날 것으로 점쳐져 양사 간 1위 싸움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6-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