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 OPEC국 “증산 용의”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민주화 바람이 유가 급등으로 이어지면서 ‘3차 오일 쇼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중동 최대 원유 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대규모 반정부 시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이 지역 정정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석유수출국기구(OPEC) 일부 회원국이 자발적인 증산 용의를 밝혀 추이가 주목된다.
사우디 다음으로 일일 석유 생산량이 많은 이란은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2009년 대선으로 촉발됐던 반정부 시위 수준 정도로 확산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끊임없는 야권 탄압에도 시위대는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언제든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라크에서는 25일 대규모 ‘상경 시위’가 예정돼 있다. 전쟁 이후 열악한 경제 상황 속에 정부 관료들의 부패가 속속 드러나면서 국민의 인내심도 바닥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3일부터 보안 요원을 수도 바그다드 전역에 배치하는 등 시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알제리는 일찍이 튀니지 반정부 시위의 영향을 받은 나라다. 지난 22일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 사항 중 하나인 비상사태를 19년 만에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시위대는 비상사태 해제로는 충분치 않다는 입장이다.
쿠웨이트의 경우 수백명 단위의 소규모 시위가 간헐적으로 벌어지고는 있으나 큰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 경찰 고문 사건에 항의하면서 시위를 벌였던 단체는 당초 지난 8일 대규모 시위를 계획했다가 정부가 내무부 장관을 경질하자 시위를 한달 뒤인 다음달 8일 이후로 미뤘다. OPEC 회원국 가운데 5위 산유국인 쿠웨이트는 국회의원 선출 과정이 투명하고 정부에 대한 야당의 견제가 보장돼 있는 등 다른 중동 산유국에 비해 민주주의가 자리 잡은 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그럼에도 야권은 내각 총사퇴를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있어 불씨는 남아 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2-2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