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차량용 블랙박스가 인기를 끌고 있으나 일부 제품은 품질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차량용 블랙박스 14개 제품을 구입해 시험한 결과 일부 제품은 야간 식별, 시야각, 부팅 시간 등에 문제가 있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앞쪽에 카메라를 장착해 주행과 관련된 영상을 촬영, 저장하는 장치로, 사고 발생시 활용할 수 있다. 시험한 14개 제품 중 3개 제품은 야간 촬영시 3~4m의 가까운 거리에서도 번호판 식별이 거의 불가능했다. 또 3개 제품은 시야각이 90도에도 미치지 못해 측면 촬영이 쉽지 않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성능표시 표준화 방안을 관련기관과 협의할 예정”이라며 “소비자들은 제품 구입시 성능을 꼼꼼하게 물어서 따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차량용 블랙박스 14개 제품을 구입해 시험한 결과 일부 제품은 야간 식별, 시야각, 부팅 시간 등에 문제가 있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앞쪽에 카메라를 장착해 주행과 관련된 영상을 촬영, 저장하는 장치로, 사고 발생시 활용할 수 있다. 시험한 14개 제품 중 3개 제품은 야간 촬영시 3~4m의 가까운 거리에서도 번호판 식별이 거의 불가능했다. 또 3개 제품은 시야각이 90도에도 미치지 못해 측면 촬영이 쉽지 않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성능표시 표준화 방안을 관련기관과 협의할 예정”이라며 “소비자들은 제품 구입시 성능을 꼼꼼하게 물어서 따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7-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